충남환경노조(충남공공환경산업노동조합) 9개 시·군 연대 파업이 계속되고 있어 쓰레기로 인한 주민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지난 2일 새벽 1시를 기해 충남환경노조 소속 가곡환경미화원들도 전면 파업에 들어갔고, 당진뿐만 아니라 서산·예산·홍성 등 9개 시·군이 동시에 시작한 연대파업은 벌써 2주째를 접어들어 쓰레기 대란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렇듯 주민의 불편이 담보된 파업이 장기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해결을 위한 발 빠른 대처가 보이지 않는다. 8일에야 당진군에서 열린 임금협상에서는 노조측이 16개 사업장 대표가 선임한 노무사와는 협상불가를 선언하고 2분 만에 퇴장하였다고 하니 아직 공식적인 대화 한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지경이다.


입장 차이는 대화로 그 간극을 좁혀나갈 수밖에 없는 일인데 대화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니, 주민의 불편은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


이 문제는 대행업체 노·사간의 문제로 개입할 입장이 아니라는 군 당국은, 대행업체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로 파업이라는 극한 상황을 빚어 주민에게 불편을 끼친 점에 대하여 책임의식을 가지고 조속하고 적극적인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군 당국은 결코 국외자가 될 수 없다. 주민의 편안한 생활 보장 누구의 몫인가? 대행업체인가, 환경미화원들인가.
모든 파업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대처방식을 보면, 그렇게 느긋할 수가 없다. 시간이 말해준다는 식이다.

시간이 가면 먼저 지친 쪽에서 타협안이 나올 터이니 기다리면 된다는 안이한 발상과 이미 발생한 일이니 어떻게든 타결만 되면 되지 않느냐는 태평한 사고에서 나오는 방식이다. 그 동안에 입게 되는 정신적 물질적 피해와, 직접적 간접적 손실에 대한 고려는 계산에 있는가 없는가?


사용자나 사회가 파업을 문제 해결의 통과의례쯤으로 인식하는 듯하여 답답하다. 파업이 예고 없이 갑자기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충분히 예견되는 일이라면 돌입 전에 막아야 했다. 파업 이후에는 협상하고 도출해내는 결과물을 파업 전에는 왜 해내지 못하는가. 않는 것인가?


고조되고 있는 주민들의 불만을 더 이상 외면하다 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도 못 막는 잘못 범하지 말고, 대행업체, 충남환경노조, 군당국 3자는 성실하고 책임있는 자세로 조속한 협상타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