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신문은 한 가지 사안을 두고 문제 해결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파고들며 많은 기사를 내놨었다. 수많은 사안 가운데 오랫동안 해결되지 못했던 것도 있었고, 단기적인 측면에서 관심을 두고 지켜봐야 할 사안들이 있었다.

그 가운데 몇 년 동안 원인 규명과 책임을 놓고 갈등을 겪는 부곡공단 지반침하 문제는 당진시의 개입으로 꼬였던 실타래가 풀리는 듯 보였지만, 한전과의 협의 과정에서 다시 원점에 놓였다.

반면, 장고항 캠핑카 장기주차 문제는 장고항 국가어항의 주요 사업인 저온위판장 설계가 완료되고, 공사 착공을 앞두면서 해결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부곡공단과 장고항 캠핑카 주차와 관련해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진행 과정을 살폈다.

당진부곡공단 지반침하와 관련해 건축물들이 피해를 입은 모습. ⓒ당진신문DB
당진부곡공단 지반침하와 관련해 건축물들이 피해를 입은 모습. ⓒ당진신문DB

[당진신문=지나영 기자] 2023년 부곡공단의 시한폭탄은 멈출 수 있을까. 지반침하로 인한 부곡공단의 물적 피해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A업체는 지반침하로 건물에 균열이 발생한 이후 비가 내리는 날이면 건물 내부에 빗물이 고이고 있으며, B업체 역시 많은 비가 내리면 공장 건물 바닥에서 물이 역류했다. 이를 두고 송근상 한전비대위 위원장은 “시한폭탄을 안고 살고 있다”라며 당진시청 관계자들에게 답답함을 토로했었다.

이런 가운데 한전 비대위에 따르면 지반침하로 인해 부곡공단 인근 업체들은 폭발성 물질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더욱이 정밀안전진단 안전성 평가에서 대부분 D등급을 받아 위험한 상태다. 이에 시설물 복구에 필요한 공사비용을 450억원으로 산출했다.

반면, 한국전력은 지난 2020년 당진시에서 수행한 건축물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토대로 건물보수와 바닥슬라브 재시공에 대한 예상 비용은 23억원과 지반보강비(필요시) 등을 포함해 약 25억원으로 산출했다.

이에 당진시가 피해 규모 산출액과 관련해 중재에 나서고 있지만, 양측의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난항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21년 한전은 피해업체 A업체와의 소송에서 법원이 ‘대한토목학회를 통해 피해영향범위를 다시 조사해 제출하라’고 결정한 것을 두고 “법원의 것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다”라며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진시 안전총괄과 관계자는 “당진시는 피해 규모 산출액의 기준으로 시에서 실시한 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제시했지만, 한국전력은 피해규모의 범위가 크다며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재 당진시는 비대위에서 한전에 제기한 소송에 법적 도움을 주고 있으며, 산출액 산정에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당진 #당진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