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 지방소멸위험지수 0.47%..대호지 0.08%로 가장 위험
일부 지역에 인구 밀집..농업 지역은 인구 유입 낮아 심각
농어촌 대체 인구 마련 시급..“청년 인구 유입·출산 정책 필요”

당진 읍면동별 지방소명 위험지수 ⓒ당진신문 김진아 PD
당진 읍면동별 지방소명 위험지수 ⓒ당진신문 김진아 PD

[당진신문=지나영 기자] 당진이 위태롭다. 올해 3월 기준 당진시가 신규소멸위험 지자체에 포함되면서, 소멸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세~39세의 가임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것으로, 소멸위험지역은 젊은 인구 감소로 고령화 인구가 증가할 경우 도심 쇠퇴와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최악의 경우 소멸에 처할 수 있는 지역을 뜻한다. 

소멸위험지수는 낮아질수록지면 소멸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지역 △1.0~1.5 미만-정상지역 △0.5~1.0 미만-소멸주의 △0.2~0.5 미만-소멸위험진입 △0.2 미만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최근 발표된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 3월 기준 당진시는 소멸위험구간에 진입했다. 소멸 고위험을 통합한 소멸위험지역은 113곳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의 약 49.6% 수준이다. 소멸위험지역은 △2005년 33곳 △2010년 61곳 △2015년 80곳 △2020년 102곳 △2022년 3월 113곳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당진시 인구는 △2016년 16만 6630명 △2017년 16만 7439명 △2018년 16만 7770명 △2019년 16만 7042명 △2020년 16만 6249명 △2021년 16만 7092명 △2022년 3월 16만 6971명으로 16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3월 20~39세 여성 인구는 1만 5438명인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3만 2960명으로 소멸위험지수는 0.47%로 위험진입 단계에 들어섰다. 당진시 여성(청년) 인구가 △2000년 1.22% △2005년 0.84% △2010년 0.79% △2015년 0.74% △2020년 0.56%로 꾸준히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출생아 수의 감소로 이어진다. 실제로 당진시 출생아 수는 △2016년 1717명 △2017년 1585명 △2018년 1380명 △2019년 1247명 △2020년 1056명으로 감소세가 가파르다.

더 심각한 것은 읍·면·동별 지방소멸위험지수의 편차가 크다는 것이다. 당진1동(인구 2만 4828명) 65세 이상 인구는 2752명이지만, 20~39세 여성 인구는 3152명으로 지방소멸위험지수 1.15%를 기록해 당진에서 소멸위험이 가장 적은 지역으로 꼽혔다.

또한 △당진3동 1.06%(65세 이상 1807명, 20~39세 여성 1917명) △당진2동 0.98%(65세 이상 2848명, 20~39세 여성 2781명) △송악읍 0.69%(65세 이상 4424명, 20~39세 여성 2074명)로 상대적으로 소멸의 위험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호지면은 당진1동보다 1.07% 낮은 0.08%로 당진 14개 읍·면·동에서 꼴찌를 기록했으다, 이외에 △송산면 0.44% △신평면 0.40% △석문면 0.23% △우강면 0.16% △합덕읍 0.15% △면천면 0.13% △순성면, 정미면, 고대면 0.12%로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출산율 높이고 청년 농업인 유입 필요

비단 당진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방의 소멸위험지수는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지역 제조업이 쇠퇴하며 일자리 상황이 악화됐고, 여기에 열악한 정주 여건, 인프라 부족 등으로 청년 인구가 감소하면서 출산율이 저조한 것이 그 이유다. 

당진도 다양한 이유에서 인구의 유출·유입은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 도시개발이 이뤄지는 동 지역에는 인구 유입이 활발해 소멸에 대한 우려는 적지만 일부 지역은 이미 소멸 단계로 진입한 만큼 대응책 마련도 시급하다.

당진 지속가능발전담당관 관계자는 “소멸위험지수가 주로 농업지역에서 낮게 나온 만큼 농업지역에 대한 인구 유입정책은 계속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면서 “합덕읍의 경우 그동안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지만, 기대해볼 만한 것은 서해복선전철 개통을 앞두고 다양한 문화관광 사업과 주거여건이 개발되면서, 새로운 인구가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어서 “일각에서는 한참 나중에 인구가 소멸되는 지역이 생기는 경우 여러 지자체에서 함께 그 지역을 맡아 관리해야 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은 아니다”라며 “당진지역도 소멸위험지역에 진입은 했지만, 인구는 크게 감소하지 않고 비슷한 인구수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당장 위험한 상황은 아니다. 앞으로 어떤 대책을 추진하느냐가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