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신문=김정훈 미디어팀장] 당진신문은 지역신문 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아 ‘당진시, 문화도시를 넘어 지식산업의 메카가 가능한가?’ 라는 기획취재를 통해 이번호부터 5회에 걸쳐 보도한다. 당진시의 경우 3차 문화도시 지정을 위해 열심히 준비해 왔지만 결국 탈락이라는 고배를 마셨다. 이에 본지는 이번 기획 기사를 통해 과연 문화도시는 무엇이고 문화도시로의 지정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그리고 먼저 선정된 문화도시들의 준비과정과 현재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알아봤다. ※영상은 당진신문 유튜브 DTV와 당진신문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부 문화와 문화도시?
▶2부 105개 마을이 가꾸는 노지문화 서귀포
▶3부 철이 묻고 문화가 답하다 문화도시 포항
▶4부 시민이 낭만 이웃으로 전환 문화도시 춘천
▶5부 당진은 왜 문화도시를 꿈 꾸는가? 


문화라는 용어를 한 마디로 정의하기란 불가능하다. 문화는 어떤 맥락에 속하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다. 서양에서 문화(culture)라는 말은 자연 상태의 사물에 인간의 작용을 가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을 의미했으며, 현대사회에서 문화는 주로 정신적이거나 지적이고 예술적인 산물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신문의 문화면은 문학, 예술, 종교, 학문, 교육, 패션, 방송, 영화 등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신문의 다른 면을 구성하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영역과는 구분을 하고 있다. 이렇게 문화는 우리의 삶 곳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의식주를 비롯해 언어, 풍습, 도덕, 종교, 학문, 예술 및 각종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그렇다면 최근 당진을 비롯해 우리나라의 각 지자체에서 유치하려는 문화도시는 무엇일까? 문화도시는 문화예술· 문화산업· 관광· 전통· 역사· 영상 등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 하여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도시다.

즉, 지역 본연의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정된 도시인 것이다. 대한민국 법정문화도시는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정책 사업으로 다른 중앙정부의 지원사업과는 달리 문화도시로 지역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문화도시조성사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 환경을 기획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앙정부는 문화도시를 지정하고 도시별 특성에 따라 최대 100억원을 지원하고, 향후 2024년까지 5년 간 도시별 특성에 따라 최대 100억 원을 더 지원한다.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2019년 지역문화진흥법 제2조와 제15조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10곳의 예비 문화도시 중 여러 지표에 따른 평가과정을 거쳐 경기도 부천시, 강원도 원주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포항시, 제주도 서귀포시, 부산 영도구 등 일곱 곳을 제1차 법정문화도시로 지정한데 이어, 2021년에는 인천 부평구, 강원 춘천시, 강원 강릉시, 전북 완주군, 경남 김해시 등 다섯 곳을 제2차 법정문화도시로 지정했다.

왜 이토록 각 지자체에서 문화도시 선정에 전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문화도시 사업의 기본 전제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전제가 있기에 문화도시정책이 지역과 연계된 욕망들을 하나로 수렴해낼 수 있다.

문화도시사업은 중앙정부의 정책으로부터 출발하는 하향식 사업이기 때문에 지자체의 욕망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즉, 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문체부에서 내려온 지침 중 문화도시조성사업의 가장 주된 목표는 시민주도의 상향식 거버넌스 즉, 시민이 주도하는 협치이지만, 그 목표의 딜레마는 행정주도의 하향식이라는 데 있다. 과연 예비문화도시 1년과 문화도시 5년 등 총 6년이라는 시간동안 이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을까? 

지역 내의 문화정치와 욕망들로부터 사업의 취지를 지켜내기 위해선 지자체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이 문제가 해결 가능한 정책일까?

특히, 대다수 도시들이 문화재단 등 지자체 출연기관 내에 한 지붕 두 가족 형태의 문화도시 지원센터 혹은 추진단을 두고 있다. 지자체와 시민의 중간에 문화재단이나 추진단 등의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행정의 주도성과 시민의 주도성에 대한 간극을 메꾸려는 방편으로 여겨진다. 문화도시 사업 5년 동안 힘의 역전과 그것에 대응하는 형태의 역할 진화를 담고 있는지 짚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지역문화의 주체가 시민이어야 한다는 지자체의 정책목표가 분명하다면 지자체가 가진 욕망의 크기나 지역 내 문화정치와는 무관하게 문화도시를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과정 설계와 실천의지의 유무가 문화도시의 가능성을 검증하는 잣대인 것이기 때문이다.

2019년 7개 도시가 1차 문화도시로 지정되고 2021년 5개 문화도시가 지정되었다. 그 과정에서 누적되고 있는 탈락한 도시까지 감안한다면 앞으로 문화도시의 지정은 더욱 힘들어질 것이 당연하다. 물론 몇 번의 기회가 더 주어지기는 하겠지만 점점 더 치열한 경쟁을 겪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이겨내고 미래를 향해 나가고 있는 문화도시 들이 있다. 시민주도형 거버넌스가 진정 어떻게 이뤄지고 있고 어떤 부분을 통해 이들 지역이 문화도시로 선정 되게 되었는지? 불협화음은 없었는지? 문화도시의 선정과정과 진행상황, 앞으로의 목표를 살펴보고 당진시가 진정으로 문화도시가 되려 한다면 어떤 방향성과 어떤 추진체를 갖고 어떻게 나가야 하는지 1차 선정된 서귀포와 포항시 2차로 선정된 춘천시와 완주군의 문화도시 관계자들을 만나 문화도시의 나갈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호에 이어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