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화(지리학박사, 내포민속문화연구소장, 당진향토문화연구소장)

한진나루 동쪽 3.1km지점에 위치한 영웅바위(높이 30m, 둘레 30m, 면적 330㎡)
한진나루 동쪽 3.1km지점에 위치한 영웅바위(높이 30m, 둘레 30m, 면적 330㎡)

송악읍 오곡리 영내 마을에 병선 13척, 수군 794명이 주둔한 만호가 있었다 
행담도와 작은 섬들, 그리고 영웅바위가 있어 조선 수군의 기지가 됐다

[당진신문=이인화] 한국판 지중해인 ‘아산만’이란 지명은 1961년 4월 22일자 관보 제2837호에 최초로 등장한다. 바로 당진군 송악면 한진리 만(灣)으로 말이다.

영웅바위는 행담도, 서해대교 주탑을 넘어 당진 최북단에 위치한 암초섬이다. 높이 30m, 둘레 30m, 면적 330㎡로 한진나루 동쪽 3.1km지점(지번으로 신평면 매산리 산121번지)이다.

16세기 초 편찬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영옹암(令翁巖)’으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아산(牙山) 영공암(令公巖)’, ‘충청도(忠淸道) 서산지대해구(瑞山地大海口) 영공암(令公巖)’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지리학자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홍주지(洪州地) 신평에 영웅암(英雄岩)이 행담도과 함께 표기되어 있고 《대동지지(大東地志, 1866년 간행)》 홍주편에는 「新北之東小島也下有大津水原捷路中令翁岩詳水原 : 행담도는 홍주의 신북면(현 신평면)의 동쪽에 있는 작은 섬으로 그 아래쪽에 대진(大津: 현 한진)포구가 있고, 수원 가는 지름길 중간에 영웅암(令翁岩: 현 영웅바위)이 있는데 상세한 것은 수원부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아산만 한 중앙에 영웅바위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왜 이 바위가 영웅바위일까? 전해 내려오는 영웅바위와 관련된 전설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영웅바위는) 옛날 육지에 있는 선비의 대가(大家)정원에 있던 바위였는데 큰 해일로 인하여 육지에 있는 선비의 집이 휩쓸려 간 뒤 현재와 같은 웅장한 자태의 바위로 남아 있다”

“임진왜란 때 왜적이 아산만으로 침입할 때 이 바위는 신통력을 발휘하여 바위 모습을 조선 수군을 지휘하는 장수의 모습으로 변형하고 그 주변의 작은 바위는 군졸로 변모하여 이를 본 왜적들이 대경실색(大驚失色)하여 도망갔다고 한다. 이러한 위대한 업적이 알려지자, 조정에서는 이 바위의 공을 높이 평가하여 바위의 이름을 영웅바위라고 칭하고 정3품의 관직을 내려주었다고 한다”

“토정 이지함이 아산 현감으로 있을 때 하늘을 보고 내일 큰비가 내릴 것이라고 예언하고는 동네 사람들에게 ‘어서들 빨리 이곳을 피하시오. 땅이 갈라지고 모두 물귀신이 될지도 모르겠소.’ 했으나 마을사람들은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때 지게를 진 젊은 사내가 다가오면서 토정에게 ‘제 발등 불도 못 끄는 주제에 남의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고 다니다니’라며 지나갔다. 그 후 땅이 흔들리고 갈라지더니 아산 둔포 쪽에 바다가 생기고 기름진 평택 바다가 두 동강이가 나더니 바닷물이 그 사이로 들이닥치고 바다 가운데 큰 바위 하나가 솟아올랐다. 이 바위가 영웅바위다. 사람들이 힘센 장수가 주목을 불끈 쥐고 힘주어 서 있는 것 같다 해 장수바위라고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들을 호령하는 장수 모습으로 있었다고 했다”

첫 번째 전설은 아산만 터진 이야기와 관련되어 영웅바위가 된 배경 전설이고 두 번째 전설은 영웅바위를 위장하여 많은 군대가 있는 것처럼 보임으로써 왜구가 스스로 물러가게 한 전설이다. 세 번째도 토정 이지함과 관련된 아산만 터진 이야기로 영웅바위 형상과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무찌른 이야기가 함께 혼재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 바위가 영웅 바위로 지칭되게 되었을까? 《세종실록지리지》 홍주목조에 보면 해미로 충청병마도절제사가 옮겨오고 수군 도안무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가 보령현 대회이포에 머물고(중대선 6척, 중맹선 18척, 쾌선 4척, 군사 없는 중대선이 6척, 추왜별맹선 6척, 선군이 1766명, 선직이 114명이었음),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충남 서해안 7곳 주둔하였는데 좌도 도만호는 태안군 오근이포, 우도 도만호는 남포현 구정(龜井)에, 서천포 만호는 장암포, 고만량 만호는 보령현 송도포, 파치도 만호는 서산군 대산포에 있었다.

당진만호는 당진현 북쪽 박지포(朴只浦)에 병선 13척과 함께 선군 790명이 주둔했으며, 대진만호(大津萬戶)는 신평현 대진(大津: 지금의 송악읍 오곡리 전대리 주변 영내 마을)에 병선 13척과 함께 선군 794명이 주둔했다.(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수군만호(水軍萬戶)는 육군 병마동첨절제사와 같이 종4품 무관직이다. 《경국대전》에는 지방 일선의 요충지에 주둔하는데 경기도 5인, 충청도 3인, 경상도 19인, 전라도 15인, 황해도 6인, 강원도 4인, 함경도 3인, 평안도에 병마만호(兵馬萬戶) 4인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 대진(한진)만호가 바로 당진시 송악읍 오곡리 영내마을에 주둔하고 있었기에 영웅바위가 된 것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제일농장 간척사업이 진행되면서 모두 육지로 변모하면서 그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1896년 한말 지형도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대진만호가 지금의 한진이 아닌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는 군기지인 영내에 주둔하면서 수군 794명과 배 13척이 들락달락하며 아산만과 서해 해안을 경계했던 것으로 보인다.

송악읍과 신평면 사이 오곡리, 전대리, 가리저 포구 등과 신평면 금천리 내륙에서 나아가며 행담도, 그리고 그 앞의 작은 섬과 영웅바위를 은폐물로 이용하여 아산만으로 들어오는 적군을 섬멸하였기에 이런 암초섬의 이름이 붙여졌을 것이다.

고려말 공민왕 때 8번에 걸치 왜군의 아산만 침입도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특히 영웅바위는 아산만 초입에 위치하면서도 아산만 한 가운데 위치해 그 옆으로는 가항수로가 있어 아산만을 지키는 아주 중요한 지형물이었다.

그 주위로 간조시 드러나는 지내바위, 막바위, 통소바위, 농바위, 산대바위, 왼수바위, 동력구비바위 등과 함께 웅장하게 우뚝 서 있는 영웅바위는 위협적인 존재였을 것이다. 국립지리원에서는 ‘탈베그(thalweg) 원칙’에 따라 가항수로를 따라 해안 경계를 표시해왔다.

특히 영웅바위 북단으로 다소 넓고 수심이 깊은 아산묘지(牙山錨地-묘지는 배 닻을 내리는 깊은 곳)는 아산만을 건너는 사람들,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수호신과도 같은 존재였을 것이다.

조선 중기 이의무(李宜茂), 이행(李荇), 이안눌(李安訥) 등 당진의 수많은 인물을 배출한 덕수이씨들의 세거지 송산면 삼월리, 도문리 능안에 오고갔을 이행의 현손이며 이안눌의 조카인 이식(李植, 1584~1647, 인조 때 대사헌, 형조판서, 이조판서)의 《택당집(澤堂集)》에 영웅바위 시(아래)가 인상 깊다. 


영공암(영웅암)은 바로 대진(한진) 한복판에 있는 바위 / 令公巖乃在大津之中央 
파도가 밤낮으로 소리내며 부서지나 / 海濤日夜聲澎浪 
꼼짝 않고 끄떡없이 서 있는 모습 / 屹然不移亦不
아! 산의 바탕 굳세고 강함이여 / 嗟乎峙質堅且强 
대인이 우뚝 서서 하늘을 떠받치는 듯 / 有如大人特立扶天綱
뱃사람들 공경하여 제사 올리며 / 舟人敬之報馨香 
영공의 이름 붙인 것도 당연하다 하리로다 / 呼以令公名固當 
<중략> 
이와 같이 영공의 역량 헤아릴 수 없는 속에 / 此等令公不可量 
<중략>


영웅바위는 조선수군이 오곡리 영내 포구에서 아산만을 방어하고, 만일 적이 출현하면 바다에 내려와 적군을 섬멸하던 장소였을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영웅바위와 관련한 지도 몇 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61년 제작된 “대동여지도”에서 보이는 영옹암
1861년 제작된 “대동여지도”에서 보이는 영옹암
1919년 발행 아산만 1:5만지형도에서 도경계에 위치한 영암(永岩)
1919년 발행 아산만 1:5만지형도에서 도경계에 위치한 영암(永岩)
구한말지형도(군사기밀도, 육지측량부 제작, 1896년)  아산만 영웅바위 – 한진만호가 주둔했던 오곡리 영내 마을이 있던 내륙만에서 앞으로 이어지는 행담도, 그리고 그 앞에 보이는 2개의 작은 섬과 평택 근처 가항수로 옆으로 위치하는 영웅바위가 보인다.
구한말지형도(군사기밀도, 육지측량부 제작, 1896년) 아산만 영웅바위 – 한진만호가 주둔했던 오곡리 영내 마을이 있던 내륙만에서 앞으로 이어지는 행담도, 그리고 그 앞에 보이는 2개의 작은 섬과 평택 근처 가항수로 옆으로 위치하는 영웅바위가 보인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